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오라클
- mysql error
- DBeaver
- 파티셔닝
- MySQL
- Linux
- 투자
- SQL Server
- 인덱스
- RDS
- 데이터베이스
- AZURE
- 조인
- 애져
- AWS
- azure sql
- DB
- 에러
- 주식
- 백업및복구
- oracle
- VPC
- 시스템 성능
- 오렌지
- 성능
- 개인연금저축펀드
- 리눅스
- 재테크
- 펀드
- EC2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결합 (1)
미스터 역마살
오늘은 UNION 과 UNION ALL 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UNION 은 UNION DISTINCT의 줄여서 UNION이라고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중복제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UNION의 특징에 대해 몇가지 알아보자 1. 두 테이블간의 결합시 사용하는 구문 2. 중복되는 값이 존재하지 않음 3. 중복을 제거하다보니 불가피하게 정렬작업을 하게됨 4. 그로인해 소트부하가 생겨 성능에 좋지 않음. 따라서 인덱스가 없거나 대용량 테이블간의 결합이라면 성능에 악영향 을 미치게 될 것이다. 하지만 UNION ALL의 경우는 중복을 허용하고 말그대로 테이블 두개를 딱! 하고 붙이는 것이기 때문에 정렬 작업이 일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런 테이블이 있다고 할 경우 UNION ALL 의 경우 3..
Database/ORACLE
2016. 7. 21. 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