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VPC (3)
미스터 역마살
이전내용 #01. VPC : 2021.07.20 - [IT/AWS] - AWS 네트워크 #01 - VPC Subnet이란? AWS에서 Subnet이란 VPC의 하위 단위로써 VPC하위에 서비스가 생성 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냅니다. 서브넷은 큰 VPC의 사설망 안에서 IP주소를 잘개 쪼갠 네트워크 대역 입니다. 서비스 생성시 항상 해당 서비스가 돌아갈 서브넷을 선택하게 됩니다. VPC와 서브넷은 1:N의 관계 입니다. 즉 하나의 VPC에 여러개의 서브넷이 존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용영역과 서브넷도 1:N의 관계 입니다. 서브넷은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Public Subnet 외부 인터넷과 연결이 가능한 서브넷이며 해당 서브넷에 생성된 서비스나 인스턴스는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 Private S..
VPC란 Amazon VPC(Virtual Private Cloud)는 클라우드 내의 논리적인 가상공간이다. AWS에서 서비스를 생성하기위해서 가장 처음 해야하는 일이 VPC를 생성하는 것이다. 일종의 가상의 나만의 작업공간을 구축하는 것이다. VPC는 하나의 리전에 종속 적이며 여러개의 가용영역을 가질 수 있다. VPC생성 절차 1. AWS 대시보드에서 VPC 메뉴 검색 2. VPC 생성 3. VPC 설정 VPC 생성시 유의사항 VPC 의 CIDR블록을 10.0.0.0/16 으로 설정하는것을 추천 한다. VPC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CIDR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CIDR란? IPV6는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IPV6 CIDR 블록없음을 선택 한다. VPC 및 기타 다른 서비스를 생성할때 태..
AWS 네트워크 공부 AWS 관련 회사에 입사하면서 그동안 접해보지 못한 클라우드 세계를 접하게 되었다. 그동안 네트워크나 클라우드에 대해 무지했었던 나에게 AWS 클라우드는 굉장한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래서 짧은 기간동안이나마 내가 공부한 AWS 내용들을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아키텍처 위의 아키텍처에 대해 각각의 서비스 및 컴포넌트에 대한 개념 및 구성 방법에 대해 앞으로 알아볼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VPC SUBNET CIDR EC2 RDS Security group EBS ROUTE TABLE Internet gateway DMS 이정도 일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