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역마살
[DAP / 모델링 문제] [중급] 인사평가시스템 본문
문제
우리는 인사평가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인사 평가는 직원의 직속상관으로 3차 평가에 의해 이루어 진다. 예를 들어 팀원이면 팀장(1차평가) – 부장(2차평가) – 본부장(3차평가)을 팀장이면 부장(1차) – 본부장(2차) – 부사장(3차) 로 이루어 진다. 이는 예시이며, 꼭 팀이 부서 아래만 존재하지 않으며, 본부 또는 부사장 직속일 수 있다. 팀원이면 1차(50%), 2차(30%), 3차(20%) 이며, 팀장일 경우 1차(40%) – 2차(30%) – 3차(30%) 이다. 즉 팀원, 팀장, 부장, 본부장, 부사장의 평가 비율이 다르다. 평가년도별 평가 비율이 다를 수 있다.
우리는 사원을 관리한다. 사원은 사원번호, 이름, 연락처, 출신학교, 소속부서를 관리한다. 출신학교는 초등학교부터 최종 학교의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명, 출신학교구분(초등~대학원)의 이력을 관리한다. 또한 직원은 인사별령으로 부서 및 직책이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한다. 우리는 조직을 관리한다. 조직은 부서코드, 부서명, 조직장(팀장,부장,본부장 등), 상위조직, 조직구분을 관리한다. 부서장은 한사람이 다수 조직의 장으로 겸직할 수 없다. 조직구분은 사장, 부사장, 본부, 부, 팀으로 구분된다.
우리는 평가를 관리한다. 피평가자, 평가자, 평가비율, 평가차수(1~3차), 평가점수, 평가등급(S, A, B, C, D), 최종 평가등급, 평가일자를 관리한다. 최종 평가 등급은 1~3차 값을 합산하여 등급을 평가하며 평가 등급은 평가점수가 95점 이상 S, 90점이상 A, 80점이상 B, 70점 이상 C, 70점 미만 D로 구분한다. 평가등급의 기준은 매년 변경될 수 있다. 평가는 매년 1회 실시하며, 매년 평가에 대한 전체 이력을 관리한다.
엔터티 & 속성 도출
엔터티는 빨간색, 속성은 파란색, 관계나 주요 사항은 밑줄
우리는 인사평가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인사 평가는 직원의 직속상관으로 3차 평가에 의해 이루어 진다. 예를 들어 팀원이면 팀장(1차평가) – 부장(2차평가) – 본부장(3차평가)을 팀장이면 부장(1차) – 본부장(2차) – 부사장(3차) 로 이루어 진다. 이는 예시이며, 꼭 팀이 부서 아래만 존재하지 않으며, 본부 또는 부사장 직속일 수 있다. 팀원이면 1차(50%), 2차(30%), 3차(20%) 이며, 팀장일 경우 1차(40%) – 2차(30%) – 3차(30%) 이다. 즉 팀원, 팀장, 부장, 본부장, 부사장의 평가 비율이 다르다. 평가년도별 평가 비율이 다를 수 있다.
우리는 사원을 관리한다. 사원은 사원번호, 이름, 연락처, 출신학교, 소속부서를 관리한다. 출신학교는 초등학교부터 최종 학교의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명, 출신학교구분(초등~대학원)의 이력을 관리한다. 또한 직원은 인사별령으로 부서 및 직책이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한다. 우리는 조직을 관리한다. 조직은 부서코드, 부서명, 조직장(팀장,부장,본부장 등), 상위조직, 조직구분을 관리한다. 부서장은 한사람이 다수 조직의 장으로 겸직할 수 없다. 조직구분은 사장, 부사장, 본부, 부, 팀으로 구분된다.
우리는 평가를 관리한다. 피평가자, 평가자, 평가비율, 평가차수(1~3차), 평가점수, 평가등급(S, A, B, C, D), 최종 평가등급, 평가일자를 관리한다. 최종 평가 등급은 1~3차 값을 합산하여 등급을 평가하며 평가 등급은 평가점수가 95점 이상 S, 90점이상 A, 80점이상 B, 70점 이상 C, 70점 미만 D로 구분한다. 평가등급의 기준은 매년 변경될 수 있다. 평가는 매년 1회 실시하며, 매년 평가에 대한 전체 이력을 관리한다.
나의 답안
모범 답안
주요 Point
뭔가 나의 답안과 모범 답안이 비슷해 보이면서도 많이 다른듯 하다. 어떤 부분이 다른지도 함께 보자
팀원, 팀장, 부장, 본부장, 부사장의 평가 비율이 다르다. 평가년도별 평가 비율이 다를 수 있다.
이부분은 평가년도별로 평가비율을 별도 테이블로 관리를 해야 하며 피 평가자의 직책, 평가 차수에 따라 비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PK 구성을 평가년도, 피평가자직책, 평가차수 로 구성해야 한다는것을 의미 한다. 평가 관련된 부분의 엔터티 구성이 사실 좀 어려웠다. 따라서 모범답안에는 없지만 나의 답안에는 평가라는 엔터티를 만든걸 볼수있다. 뭔가 평가의 마스터 엔터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서 그렇게 만든건데 모범답안을 보고 나니 굳이 만들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출신학교는 초등학교부터 최종 학교의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명, 출신학교구분(초등~대학원)의 이력을 관리한다
출신학교 엔터티 구성에서 PK를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다. 모범 답안처럼 사원번호, 입학년도, 졸업년도로 PK를 구성하는걸 첫번째로 생각했지만 현재 사원이 대학원에 진학중이거나 졸업을 못한 경우라면 졸업년도 속성에는 데이터가 NULL이 들어갈 것이라 판단했기에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사원번호, 이력순번으로 PK 구성을 하였는데 이부분은 차라리 순번이 아닌 입학년도를 PK구성에 포함하던지 하는게 좀 더 명확해 보인다.
부서장은 한사람이 다수 조직의 장으로 겸직할 수 없다.
이부분은 사원 엔터티와 부서의 조직장 속성과의 1:1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엔터티 구성에서 1:1 관계는 잘 나오지 않지만 이렇게 한번씩 문제에 나올때 잘 익혀두는것이 중요할 것 같다.
'Certification > D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P / 모델링 공부] [중급] 주문배송관리 (0) | 2022.08.27 |
---|---|
[DAP / 모델링 문제] [중급] 도서관리시스템 (0) | 2022.08.20 |
[DAP/모델링 공부] [중급]차량 렌트 회사 (0) | 2022.08.14 |
[DAP/모델링 공부][중급] PC제조 및 판매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