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B
- 데이터베이스
- VPC
- AZURE
- 성능
- Linux
- 투자
- oracle
- EC2
- AWS
- 인덱스
- DBeaver
- 애져
- 조인
- 시스템 성능
- azure sql
- 에러
- 펀드
- 리눅스
- 파티셔닝
- mysql error
- SQL Server
- 개인연금저축펀드
- 주식
- 오라클
- 백업및복구
- 재테크
- RDS
- MySQL
- 오렌지
- Today
- Total
목록2021/07/19 (3)
미스터 역마살
DBeaver 접속 에러 접속이 잘되던 mysql dbeaver가 갑자기 에러가 나면서 접속이 안되었다. Public Key Retrieval is not allowed 라는 메세지와 함께... 해결방법 1. Edit Connection 클릭 2. Driver properties에서 allowPublicKeyRetrievla 값을 true useSSL 값을 false로 변경 그런다음 다시 접속해보면 접속 성공함!

AWS 네트워크 공부 AWS 관련 회사에 입사하면서 그동안 접해보지 못한 클라우드 세계를 접하게 되었다. 그동안 네트워크나 클라우드에 대해 무지했었던 나에게 AWS 클라우드는 굉장한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래서 짧은 기간동안이나마 내가 공부한 AWS 내용들을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아키텍처 위의 아키텍처에 대해 각각의 서비스 및 컴포넌트에 대한 개념 및 구성 방법에 대해 앞으로 알아볼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VPC SUBNET CIDR EC2 RDS Security group EBS ROUTE TABLE Internet gateway DMS 이정도 일듯 싶다.

IOPS란? IOPS(Input/Ouput Operation Per Second)는 초당 처리되는 I/O의 개수라고 이해하면 된다. 보통 저장장치의 속도를 나타낼때의 측정단위가 된다. IOPS가 100이라고 하면 1초에 100 x 블럭크기 만큼의 IO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IOPS 계산 방법 초당 데이터 전송량 = IOPS * 블럭크기(단위 데이터 용량) IOPS = 초당 데이터 전송량 / 블럭크기(단위 데이터 용량) 여기서 블럭의 크기를 아는것이 중요한 부분인데 블럭이란 IO의 최소 단위이다. 보통 ORACLE이나 다른 DBMS는 IO의 기본단위를 블록(페이지)로 정의된다. Oracle, PostgreSQL, MS-SQL의 경우 8KB가 디폴트 이며, MySQL,MariaDB는 16KB가 디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