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글 (117)
미스터 역마살
VPC란 Amazon VPC(Virtual Private Cloud)는 클라우드 내의 논리적인 가상공간이다. AWS에서 서비스를 생성하기위해서 가장 처음 해야하는 일이 VPC를 생성하는 것이다. 일종의 가상의 나만의 작업공간을 구축하는 것이다. VPC는 하나의 리전에 종속 적이며 여러개의 가용영역을 가질 수 있다. VPC생성 절차 1. AWS 대시보드에서 VPC 메뉴 검색 2. VPC 생성 3. VPC 설정 VPC 생성시 유의사항 VPC 의 CIDR블록을 10.0.0.0/16 으로 설정하는것을 추천 한다. VPC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CIDR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CIDR란? IPV6는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IPV6 CIDR 블록없음을 선택 한다. VPC 및 기타 다른 서비스를 생성할때 태..
DBeaver 접속 에러 접속이 잘되던 mysql dbeaver가 갑자기 에러가 나면서 접속이 안되었다. Public Key Retrieval is not allowed 라는 메세지와 함께... 해결방법 1. Edit Connection 클릭 2. Driver properties에서 allowPublicKeyRetrievla 값을 true useSSL 값을 false로 변경 그런다음 다시 접속해보면 접속 성공함!
AWS 네트워크 공부 AWS 관련 회사에 입사하면서 그동안 접해보지 못한 클라우드 세계를 접하게 되었다. 그동안 네트워크나 클라우드에 대해 무지했었던 나에게 AWS 클라우드는 굉장한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래서 짧은 기간동안이나마 내가 공부한 AWS 내용들을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아키텍처 위의 아키텍처에 대해 각각의 서비스 및 컴포넌트에 대한 개념 및 구성 방법에 대해 앞으로 알아볼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VPC SUBNET CIDR EC2 RDS Security group EBS ROUTE TABLE Internet gateway DMS 이정도 일듯 싶다.
IOPS란? IOPS(Input/Ouput Operation Per Second)는 초당 처리되는 I/O의 개수라고 이해하면 된다. 보통 저장장치의 속도를 나타낼때의 측정단위가 된다. IOPS가 100이라고 하면 1초에 100 x 블럭크기 만큼의 IO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IOPS 계산 방법 초당 데이터 전송량 = IOPS * 블럭크기(단위 데이터 용량) IOPS = 초당 데이터 전송량 / 블럭크기(단위 데이터 용량) 여기서 블럭의 크기를 아는것이 중요한 부분인데 블럭이란 IO의 최소 단위이다. 보통 ORACLE이나 다른 DBMS는 IO의 기본단위를 블록(페이지)로 정의된다. Oracle, PostgreSQL, MS-SQL의 경우 8KB가 디폴트 이며, MySQL,MariaDB는 16KB가 디폴트 ..
1. 오라클 서버에서 제공하는 불완전 복구 4가지 유형에 대해 각각 설명하십시오 1) Time-Based 복구 : 특별한 시점 어느순간 까지의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으로 장애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복구가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까지의 복구를 말한다. 2) Cancel-Based 복구 : DB 관리상의 문제로 인해 복구를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경우 사용가능한 백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는 시점까지만이라도 최대한 복구하는 방법을 말한다.(마지막 아카이브 파일까지만 복구) 3) Change-Based 복구 : 과거 특정 SCN 번호를 가진 시점까지의 복구를 말한다. 4) 컨트롤 파일 복구: 컨트롤 파일 문제로 인해 컨트롤 파일 자체를 다시 복구해야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진..
1. 오라클 서버에서 제공한 Offline 백업과 Online 백업의 기술적 차이점에 대해 각각 설명 하십시오 Offline 백업의 경우 반드시 shutdown 상태에서 백업을 진행해야 하며 모든 file들을 백업 해야한다. 그이유는 모든 파일들의 SCN 넘버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또한 오프라인 백업의 경우 No Archive 모드와 Archive 모드 둘다 가능하다. 반면 Online 백업은 DB가 구동중인 상태에서도 백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테이블 스페이스 단위로 백업해야 하며 Archive Mode에서만 백업이 가능하다. 2. 오라클 DB에서 SCN의 개념과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십시오 SCN이란 System Change Number의 약자로서 Commit이 진행될 때 마다 갱신되는 번호를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