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B
- 시스템 성능
- 재테크
- EC2
- MySQL
- 데이터베이스
- 파티셔닝
- 인덱스
- RDS
- 리눅스
- SQL Server
- 오렌지
- DBeaver
- VPC
- 조인
- Linux
- 주식
- AWS
- 펀드
- 투자
- 오라클
- mysql error
- 에러
- 애져
- azure sql
- 개인연금저축펀드
- AZURE
- 백업및복구
- oracle
- 성능
- Today
- Total
목록AWS (11)
미스터 역마살
지난 이야기 #01 VPC : 2021.07.20 - [IT/AWS] - AWS 네트워크 #01 - VPC #02 SUBNET : 2021.07.21 - [IT/AWS] - AWS 네트워크 #02 - Subnet ROUTE TABLE이란? 라우트 테이블(:=라우팅 테이블)이란 트래픽이 어디로 가야하는지 알려주는 이정표 역할을 하여 서브넷 안밖으로 나가는 트래픽에 대해서 라우팅 경로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는것이 라우트 테이블이다. 기본적으로 VPC를 생성하게 되면 하나의 라우팅 테이블은 만들어져 있다.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나의 타겟 IP가 LOCAL에 있는지 외부 인터넷게이트웨이에 있는지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지난시간에 Private subnet과 public subnet을 생성하였다. 이번에는 pu..
이전내용 #01. VPC : 2021.07.20 - [IT/AWS] - AWS 네트워크 #01 - VPC Subnet이란? AWS에서 Subnet이란 VPC의 하위 단위로써 VPC하위에 서비스가 생성 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냅니다. 서브넷은 큰 VPC의 사설망 안에서 IP주소를 잘개 쪼갠 네트워크 대역 입니다. 서비스 생성시 항상 해당 서비스가 돌아갈 서브넷을 선택하게 됩니다. VPC와 서브넷은 1:N의 관계 입니다. 즉 하나의 VPC에 여러개의 서브넷이 존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용영역과 서브넷도 1:N의 관계 입니다. 서브넷은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Public Subnet 외부 인터넷과 연결이 가능한 서브넷이며 해당 서브넷에 생성된 서비스나 인스턴스는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 Private S..
VPC란 Amazon VPC(Virtual Private Cloud)는 클라우드 내의 논리적인 가상공간이다. AWS에서 서비스를 생성하기위해서 가장 처음 해야하는 일이 VPC를 생성하는 것이다. 일종의 가상의 나만의 작업공간을 구축하는 것이다. VPC는 하나의 리전에 종속 적이며 여러개의 가용영역을 가질 수 있다. VPC생성 절차 1. AWS 대시보드에서 VPC 메뉴 검색 2. VPC 생성 3. VPC 설정 VPC 생성시 유의사항 VPC 의 CIDR블록을 10.0.0.0/16 으로 설정하는것을 추천 한다. VPC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CIDR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CIDR란? IPV6는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IPV6 CIDR 블록없음을 선택 한다. VPC 및 기타 다른 서비스를 생성할때 태..
AWS 네트워크 공부 AWS 관련 회사에 입사하면서 그동안 접해보지 못한 클라우드 세계를 접하게 되었다. 그동안 네트워크나 클라우드에 대해 무지했었던 나에게 AWS 클라우드는 굉장한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래서 짧은 기간동안이나마 내가 공부한 AWS 내용들을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아키텍처 위의 아키텍처에 대해 각각의 서비스 및 컴포넌트에 대한 개념 및 구성 방법에 대해 앞으로 알아볼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VPC SUBNET CIDR EC2 RDS Security group EBS ROUTE TABLE Internet gateway DMS 이정도 일듯 싶다.
IOPS란? IOPS(Input/Ouput Operation Per Second)는 초당 처리되는 I/O의 개수라고 이해하면 된다. 보통 저장장치의 속도를 나타낼때의 측정단위가 된다. IOPS가 100이라고 하면 1초에 100 x 블럭크기 만큼의 IO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IOPS 계산 방법 초당 데이터 전송량 = IOPS * 블럭크기(단위 데이터 용량) IOPS = 초당 데이터 전송량 / 블럭크기(단위 데이터 용량) 여기서 블럭의 크기를 아는것이 중요한 부분인데 블럭이란 IO의 최소 단위이다. 보통 ORACLE이나 다른 DBMS는 IO의 기본단위를 블록(페이지)로 정의된다. Oracle, PostgreSQL, MS-SQL의 경우 8KB가 디폴트 이며, MySQL,MariaDB는 16KB가 디폴트 ..